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대학, 대학원 생활15

American Beauty [영어로 배우는 미국문화] 질문에 대한 답을 하기에 앞서 먼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있다. 미국사회에 대한 전제를 먼저 말하고 시작해야겠다. 미국은 모두 알다시피 기독교 국가이다. 정확히 말해서 개신교 국가이다. 신앙의 자유를 찾아 신대륙으로 건너온 청교도들이 세운 국가. 지폐에 In God We Trust 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는 국가. 대개 종교가 그러하듯 기독교도 마찬가지로 욕심에 대해서 경계하고 지양한다. 특히 물욕과 성욕은 더 경계한다. 그런 기독교의 나라에서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1. 미국 중산층의 허위, 가장, 거짓의식에 대하여 2000년에 개봉한 이 영화는 꽤 오랜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의 모습을 잘 대변하고 있는 것 같다. 특히 미국 중산층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생각한다면 아직도 현재진행 중이라고.. 2023. 3. 13.
명저로 읽는 세상 기말고사 명저로 읽는 세상의 마지막 시간, 기말고사 시간에 도덕경의 구절을 빌려 프랭클린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한다. 도덕경 왈 “도가도면 비상도라” : 진리를 진리라고 규정하면 그것은 불변의 진리가 아니다. 프랭클린은 완벽한 인격체가 되기 위해 분명한 목표와 기준을 세웠다. 이것은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라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완벽하다는 말의 정의는 흠이 없다. 모자람이 없다. 이렇게 사전에 정의되어있다. 인간은 누구나 모자라고 흠이 많은데 원래 흠이 많고 모자란 이가 완벽을 이해는 해도 경험할 수 있을까? 도덕경의 첫 구절을 가지고 이야기해보자면 누군가 “나는 완벽에 도달했다”라는 이야기를 한다면 그 사람은 완벽함에 도달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프랭클린의 삶이 우리에게 주는 감동과 교훈은 무엇인가? .. 2023. 3. 13.
문화행사기획 - 행사 기획안 1. 기획의도 ‘아이들과 함께하는 사랑해 한글’ 일시 : 2015. 10. 09 장소 : 분당구청 앞 잔디광장 문화 행사 기획, 요즈음 사람들의 삶이 풍요로워지고 여유로워지다보니 자연스레 일 외적인 문화를 향유하고 싶어 하는 움직임이 크다. 그래서인지 아무것도 없던 시절의 문화는 우리가 누릴만한 내용이 부족했다면 이젠 다방면에서 정말 많은 것들이 우리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며 내용 면에서도 굉장히 풍성해졌다. 그 뿐만 아니라 여러 장르들의 협력까지 포함한다면 우리가 현재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컨텐츠는 가히 무한대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이들과 함께하는 사랑해 한글’ 이라는 행사는 젊은 부부와 아이들에 초점을 맞춰 한글에 대한 마음을 고취시키고 아이들과 부모들이 함께 즐길만한 행.. 2023. 3. 13.
학습윤리 - 리포트 10주차 강의로는 인터넷 예절에 관한 내용을 공부해봤다. 이번 과제는 인터넷 예절을 지키지 않아 발생한 사건, 사고를 조사하고 안전하고 올바른 인터넷 세상을 만들기 위한 방안을 자유롭게 서술하는 내용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인터넷 또는 컴퓨터 즉 사이버에 관련된 문제로 인한 사건, 사고들은 컴퓨터와 인터넷 그리고 정보통신의 발달로 90년대부터 꾸준하게 일어나고 있기에 굳이 찾아 가져오지 않았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미 이러한 사건들에 대해서 끊임없이 들어왔고 잊을 만하면 들려오는 안타까운 소식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집중한 것은 올바른 인터넷 세상을 만들기 위한 개인적인 견해다. 인터넷은 가지고 있는 특성상 자유롭고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간이라 배웠다. 하지만 이것으로 인해 우리는 현실 세계보다 더 쉽게.. 2023. 3. 13.
잊혀진 대한민국 시리즈 아프다. 마음이 너무 아프다. 무엇이라도 하고 싶은데 할 수 있는 게 없어 보인다. 이것이 내가 ‘잊혀진 대한민국 시리즈’를 보고 난 후의 감정이다. 나는 예전부터 지식채널e 프로그램을 굉장히 좋아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한번 쯤 생각하고 고민해봐야 할 문제들을 던져주기도 하고 알지 못했던 정보들,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그로 하여금 사람들의 인식의 전환을 꾀하고 영상매체가 가진 힘을 느낄 수 있어 한편으로 경계하면서도 좋아하는 프로그램이다. 개인적으로 어떠한 영상 하나만을 꼽기보다 ‘잊혀진 대한민국 시리즈’를 통틀어 가지고 이야기하고 싶어 하나만 꼽지 않았다. 내가 느낀 아픔과 안타까움은 이것이다. ‘제도의 허점’, ‘우리 고유의 정(情)의 부재’, ‘천박한 의식’ 등.. 2023. 3.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