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공자2 맹 자(孟子) 맹자, 이 시대를 살아가는 아니, 적어도 동아시아의 유교권 문화의 나라에 태어나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살면서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이름. 나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이름정도만 들어봤을 뿐. 그가 누구이고 그의 생각과 가치관이 그가 추구한 이상이 무엇인지 몰랐고 궁금해본 적도 없었다. 맹자에 대해서 조금 공부해보니 맹자는 공자와 더불어 유교의 역사상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었다. 특히 맹자는 유교의 중요한 가치인 인의(仁義)를 확립한 인물로 평가받았다. 인의가 무엇인가? 내가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는 그것을 정확히 정의내리기는 힘들다는 것만 알고 있다. 다만 굳이 정의내리자면 도덕에 가까울 것이라는 것. 맹자는 춘추전국시대에 태어나 혼란의 시기에 인의를 기반으로 한 왕도정치를 꿈꾸며 전했다. 하지만 결국 .. 2023. 3. 13. 논 어(論 語) 이번엔 논어다. 맹자에 이어 논어라니, 무겁다고 생각되어지지만 유교문화권에 살면서 한번쯤은 알아봐야할 어떠한 논제라고 생각한다. 논어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문답형식을 주로 하여 편집한 책이다. 누가 지었는지는 불분명하고 여러 설이 있으며 긴 역사가 있지만 모두 각설하고 공자와 논어의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한다. 공자(孔子), 유교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인물이다. 앞서서 살펴보았던 맹자보다는 전 시대의 사람이며 좀 더 정확히는 춘추시대의 사람이다. 또한 세계 4대 성인(聖人)이라 일컬어지며 수많은 제자들을 거느렸던 스승이고 시대의 정신적 지주였다. 춘추와 전국시대를 아울러 많은 사상들이 있었지만 현 시대에까지 끊임없이 재해석되는 사상은 단언컨대 공자의 사상일 것이다. 공자의 사상의 중심은 ‘인(仁.. 2023. 3. 1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